공간 정보란?
•
우리가 일상생활이나 특정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 행동이나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초정보와 기준을 제시하는 것
공간 분석
•
공간분석은 지도 상 주요 자산의 실제 위치를 확인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공간 분석으로 고객, 매장, 서비스 등의 상대적
위치가 기업의 운영, 트랜잭션,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얻을 수 있다.
공간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
핵심 고객에 맞춰 Location 서비스와 제품 재고 커스터마이즈 | 특정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주변의 소비자 구매 행동을 이해할 수 있으며 각 위치에서 인벤토리 또는 서비스 경험을 최적화하고 맞춤화할 수 있다. |
매장, 서비스, 자산 위치에 대한 전략 개선 | 새 사이트 확장 시 경쟁업체 위치 또는 기존 매장 위치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고객이 우리 제품/서비스를 이용하여 얼마나 기꺼이 이동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
서비스 가용성 보장 및 고객 경험 향상 | 주요 허브가 서로 적절한 거리 내에 위치하도록하여 서비스 대기 시간 또는 서비스의 격차를 확인하고 이를 예방할 수 있다. |
마케팅 프로그램 효율성 향상 | 타겟 지역의 인구 통계학적 구매 선호도에 맞춰 마케팅 오퍼링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지도서비스
•
축척(레벨)에 맞는 여러 장의 이미지 파일을 조합/연결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
사용자가 지도 상의 이곳 저곳을 이동하면서 확대/축소하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정보를 보여주려면 여러 장의 그림을 이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지도의 좌표
•
위치
◦
어느 좌표계에 있어서 다른 점들과 어떤 기하학적인 상관관계를 갖는가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그 좌표계의 특정점 또는 특정선으로부터의
길이와 방향을 기초로 하여 표현한다.
•
좌표
◦
좌표계의 기준이 되는 고유한 한 점을 원점이라 하며, 이를 기준으로 길이, 또는 방향을 표시한 것이 바로 좌표이다.
위도와 위선
•
위도는 지구상에서 적도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위치이다.
•
위도의 단위는 도(°)이며, 북극점을 나타내는 90° N(북위 90도)부터 남극점을 나타내는 90° S(남위 90도)까지의 범위 안에 있다.
•
위선은 적도에 평행하게 지구 둘레를 따라 그은 가상적인 선으로, 위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경도와 경선
•
경도는 지구상에서 본초 자오선을 기준으로 동쪽 또는 서쪽으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위치이다.
•
경도의 단위는 도(°)이며, 180° E(동경 180도)부터 180° W(서경 180도)까지의 범위 안에 있다.
•
경선은 지구의 남극과 북극을 연결하는 지표상의 가상선으로 경도를 표시할 때 사용된다.
위도는 지도 상의 위치를 정확히 알기 위해 있는 가로선
경도는 지도 상의 위치를 정확히 알기 위해 있는 세로선
좌표계의 종류
•
경위도 좌표계
◦
기본측량과 공공측량에 있어서 지구상 절대적 위치 표시에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이다.
◦
기준타원체 또는 준거타원체에 대한 지점위치를 경도, 위도 및 평균해수면에서 부터의 높이로 표시한 것으로 측지좌표라고도 부르며,
일반적으로는 지리좌표라고도 한다.
•
평면직각 좌표계
: 지도 라는 것은 3차원의 지구를 2차원의 평면으로 표시한 것이며, 2차원 좌표계를 일정한 범위로 통일되게 사용하기 위하여 정한 것을
평면직각좌표계, 또는 평면직교좌표계라고 한다. 평면직각 좌표계는 전세계를 대상으로 통일되게 사용되는 경우(UTM좌표계)와 필요에 따라
정해진 기준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우리나라는 우리나라 고유의 평면직각좌표계 (TM좌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
TM(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
평면 직각 좌표계의 하나로 측량 범위가 넓지 않은 지역의 축량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
평면 직각 좌표계와 같이 좌표원점을 정하고 원점을 지나는 경선을 X축, 위선을 Y축으로 각 지점 위치를 직각좌표 값으로 표시한다.
◦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좌표계
▪
전 지구상 점들의 위치를 통일된 체계로 나타내기 위한 격자 좌표 체계의 하나로 1947년에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