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구축하기 (Restful API 서버)
1단계
•
app.js 구성, 기본 컨트롤러 구성
•
사용자 정의 미들웨어 구현 방법
◦
test.js
•
예외처리 일원화 방법
◦
400Error: ../exceptions/BadRequestException.js
◦
404Error: ../exceptions/PageNotFoundException.js
◦
500Error: ../exceptions/RuntimeException.js
•
컨트롤러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처리 방법
◦
controllers/Department.js
•
컨트롤러에서 발생시킨 예외 객체를 app.use()에서 받아 일괄 처리하는 방법
◦
app.js
•
404Error에 대한 처리 방법
◦
app.js
2단계
•
파라미터 수신 처리와 응답 결과 생성 기능을 정의한 모듈 추가
◦
../helper/WebHelper.js
•
app.js에서 WebHelper를 참조하고 미들웨어 설정 수행.
•
app.js에서 WebHelper를 사용하여 에러가 발생한 경우의 응답 처리를 개선
•
컨트롤러에서 파라미터 수신 및 응답결과 구성에 대한 테스트 함수 작성
◦
controllers/Department.js
3단계
•
정규표현식 검사를 수행하는 모듈을 추가
◦
../helper/RegexHelper.js
•
정규표현식 모듈을 활용하여 컨트롤러에서 유효성 검사 수행.
◦
controllers/Department.js
•
목록조회(검색기능 포함)
◦
controllers/Department.js
4단계
•
데이터 상세보기 기능 : PK값을 파라미터로 받아서 WHERE절에 적용
•
데이터 입력 : INSERT 수행후 반환되는 PK값을 활용하여 저장결과를 조회한 후 그 결과를 응답 데이터로 구성
•
데이터 수정 : WHERE에서 사용할 PK는 URL파라미터로, 수정할 값들은 PUT 파라미터로 전달 받아 UPDATE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다시 조회하여 응답 데이터로 구성
•
데이터 삭제 : WHERE에서 사용할 PK를 URL파라미터로 활용한다. 단, 삭제 대상을 참조하는 하위 데이터가 있다면 하뒤 데이터를 먼저 삭제해야만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에 의한 예외 상황을 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