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자바
home
🔥

#5.0 ~ #5.4

#5.0 Introduction
#5.1 Targets
#5.2 Lib Configuration
#5.3 Declaration Files
#5.4 JSDoc

타입스크립트 프로젝트 시작하기

1. npm init -y

2. 생성된 package.json 확인

3. main과 test 지우기

4. npm install -D typescript

5. -D를 통해 devDependencies에 타입스크립트 설치 확인

6. tsconfig.json 파일 생성

파일명은 꼭 tsconfig.json 으로 해야한다.
이 파일이 있으면, vs code는 타입스크립트로 작업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7. tsconfig.json 내용 입력

include :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하고 싶은 모든 디렉터리를 넣어준다.
outDir :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생성될 디렉터리를 지정한다.
lib : 코드가 어디서 동작할 것인지 알려준다. (편리한 자동완성기능) ex) ES6를 지원하는 서버와 DOM, 즉 브라우저 환경에서 코드를 실행시킬 것이다.
target : 어떤 버전의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할지 설정한다.

8. package.json 파일에서 scripts에 “build”: “tsc” 추가

9. npm run build 명령어 입력 후 build 폴더에 자바스크립트 파일 생성 확인

index.ts

index.js

※ 타입스크립트를 컴파일하여 낮은버전의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변환한다.
package.json의 target으로 어떤 버전의 자바스크립트로 컴파일할지 설정할 수 있다.
es6를 쓰는것이 가상 이상적이다. (대부분의 nodeJS와 브라우저가 es6를 지원하기 때문에)
엄청 최신의 자바스크립트(ES2022)는 호환이 안될 수도 있다.
다시 build 후 자바스크립트 확인 (ES3 → ES6)
코멘트로 이루어진 문법(JSDoc)으로 타입체크를 할 수 있다.
/** * 프로젝트 초기화 * @param {object} config * @param {boolean} config.debug * @param {string} config.url * @returns {boolean} */ export function init(config) { return true; }
TypeScript
복사